[AWS] Amazon Linux 2 지원 종료일 (EOL)
·
Cloud/AWS
Amazon Linux 2 의 지원 종료일 (EOL): 2026년 6월 30일로 명시해당 OS 사용중인 EC2 가 있다면, 이전에 OS 마이그레이션 필요 # 참고링크https://aws.amazon.com/ko/amazon-linux-2/faqs/
Amazon Linux 2 서버에 mysql-shell 패키지 설치
·
OS/Linux
로컬에 기록해두었던 서버 조치 작업 정리중입니다. 이슈 내용알려주신 MySQL Shell 설치 명령어를 실행해 보았으나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합니다.[ec2-user@ip-10-222-16-54 ~]$ sudo yum install -y mysql-shell.x86_64Loaded plugins: extras_suggestions, langpacks, priorities, update-motdNo package mysql-shell.x86_64 available.Error: Nothing to do 요청 내용 MySql Shell 사용을 위한 Mysql yum repository 추가를 요청 작업 내용1. 해당 오류 확인$ sudo yum install mysql-shell.x86_64Loaded ..
EKS 클러스터 활용 - VPC CNI custom networking 활용
·
Container/Kubernetes
0. VPC CIDR 대역 2개로 설정 및 secondary subnet 세팅 1. 필수 설정 (1) aws-node DaemonSet 필수 옵션 수정AWS_VPC_K8S_CNI_CUSTOM_NETWORK_CFG: Custom 네트워크 설정 및 Pod IP 대역 분리ENABLE_PREFIX_DELEGATION: Pod 할당량이 defult 로 설정되는 것 방지# aws-node DaemonSet 설정 수정$ kubectl edit daemonset aws-node -n kube-system# 수정 내용 (false -> true)- name: AWS_VPC_K8S_CNI_CUSTOM_NETWORK_CFG value: "true" ..- name: ENABLE_PREFIX_DELEGATION val..
EKS 클러스터 활용 - 기본 세팅
·
Container/Kubernetes
0. EKS Cluster 생성 후, 기본 세팅$ aws eks update-kubeconfig --region {region-code} --name {my-cluster}kubeconfig 공식문서 * eksctl 설치# for ARM systems, set ARCH to: `arm64`, `armv6` or `armv7`ARCH=amd64PLATFORM=$(uname -s)_$ARCHcurl -sLO "https://github.com/eksctl-io/eksctl/releases/latest/download/eksctl_$PLATFORM.tar.gz"# (Optional) Verify checksumcurl -sL "https://github.com/eksctl-io/eksctl/releases/l..
[Terraform] 스터디 4주차. (3) 모듈
·
Automation/Terraform
Terraform 기초 실습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으며, 커리큘럼 4주차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.* [테라폼으로 시작하는 IaC] 도서 참조  이전 포스팅에서 테라폼의 State 에 대해 살펴보았다.이번 포스팅에서는 책 내용의 CHAPTER 6. 모듈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.   모듈은 테라폼으로 인프라 관리 시, 복잡한 리소스 간의 연관 관계와 종속성 파악을 위한 테라폼 구성 집합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.모듈은 루트 모듈과 자식 모듈로 구분된다.루트 모듈: 테라폼을 실행하고 프로비저닝하는 최상위 모듈자식 모듈: 루트 모듈의 구성에서 호출되는 외부 구성 집합(모듈을 자바의 클래스 개념과 유사하다고 생각할 수 있겠다.)  모듈 작성 기본 원칙모듈은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쓰이는 라이브러리나 패키지와 역..
[Terraform] 스터디 4주차. (2) State
·
Automation/Terraform
Terraform 기초 실습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으며, 커리큘럼 4주차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.* [테라폼으로 시작하는 IaC] 도서 참조  이전 포스팅에서 테라폼의 프로바이더에 대해 살펴보았다.이번 포스팅에서는 책 내용의 CHAPTER 5. State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.   테라폼은 Stateful (상태가 있는) 애플리케이션이다.프로비저닝 결과에 따른 State (상태) 를 저장하고 프로비저닝한 모든 내용을 저장된 상태로 추적한다.로컬 실행 환경에서는 terraform.tfstate 파일에 JSON 형태로 저장되고, 팀이나 조직에서는 공동 관리를 위해서 원격 저장소(ex. AWS S3..) 에 저장해 공유하는 방식을 활용한다.State 에는 코드의 실제 반영된 프로비저닝 결과를 저장하고, 이 ..
ywopsx